[유리건장신문]KCC창호, 에너지 손실 책임지고 막아준다
관리자
view : 2021
그린홈 정책에 따른 에너지 고효율 창호 지속적인 수요
3 TOP SYSTEM으로 제작된 KCC 창호 업계 1위 원동력
정부가 올해 ‘그린홈 100만호 보급 사업’을 본격화 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단열 창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체 건물 열 손실의 20~45% 정도를 창호가 차지하기 때문이다. 자연히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창호는 에너지 낭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한 최근 건물들의 창 면적 비율이 증가하면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창호가 요구되고 있다.
KCC 연구소 관계자는 “창호 열 성능을 2배를 향상시키면 약 30%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며 “앞으로 소비자의 창호 선택은 브랜드가 아닌 단열 성능이 우수한 제품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빠르면 2012년 창호 에너지 등급(라벨)제도가 시행돼 우수한 기능성과 실용성을 갖춘 에너지 고효율 창호 제품들이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KCC 창호 업계 선두주자로 끊임없는 제품 업그레이드
이에 따라 국내 종합건축자재 선도기업 KCC는 다양한 기능성 창호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KCC ‘프라임 이중창 분할식 248’은 기존의 ‘프라임 이중창 248’ 제품을 상·하부로 분할하는 중간바 및 하부에 접합유리를 적용한 점이 특징이다. 중간바에 고강도 보강재를 적용하여 충분한 내풍압성을 확보하였으며, 외측 하부 fix(고정)창 적용시 37mm 복층유리 적용이 가능토록 하여 기존제품 대비 우수한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법규 개정에 따라 발코니 난간대를 접합유리로 대체하여 소비자들에게 개방감을 부여, 외관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내부돌출창호 시스템 창호에는 KCC 로이(Low-e)유리가 적용된다. 로이 유리는 코팅유리의 일종으로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은 일반 유리와 비슷하나 적외선 영역의 반사율이 높아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클 경우에도 유리를 통한 열전달이 거의 없도록 제작해 에너지 절약 효과를 한층 높여준다.
로이유리는 창호의 열관류율(U-value)을 낮춰 실내·외의 열 이동을 감소시킨다. 특히 로이유리는 일반 복층 유리에 비해 에너지 절감 율이 25% 정도임을 고려하면 에너지 절약이라는 효과뿐 아니라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까지 막을 수 있어 환경 보호에도 큰 도움이 되는 친환경 제품이다.
KCC 관계자는 “기본적으로내부돌출시스템 창호는 일반 시스템 창호 적용이 어려운 초고층용 제품으로 우수한 내풍압 성능을 구현한다”며 “외관 구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던 고층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에 적용 가능한 우수제품”이라고 말했다.
KCC ‘3 TOP SYSTEM’ 성장 밑거름
KCC의 창호가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은 3 TOP SYSTEM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TOP SYSTEM은 창을 이루고 있는 창틀, 유리, 실란트을 KCC만의 노하우로 직접 생산, 가공해 창호 전체의 단열 및 방음 등을 극대화한 제작 시스템이다. 국내에서 창호의 3대 요소를 직접 만드는 곳은 KCC가 유일하다.
창호의 핵심 구성 요소인 창틀, 유리, 실란트를 직접 생산하기 때문에 품질 관리가 쉽고 동시에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으로서 최적화된 창호를 현장의 특성에 맞게 제작할 수 있다. 창호와 유리 그리고 실란트를 현장 여건을 고려해 신속하게 분석해 최적의 조합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은 창호 시장 30%를 점유할 수 있는 바탕의 된다.
KCC 홍보팀 이유진 대리는 “3 TOP SYSTEM을 바탕으로 제작된 KCC 고효율 창호는 여름에는 실내에 들어오는 태양열을 감소시키고 자외선은 차단하며, 겨울에는 실내의 따뜻한 난방열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해 에너지 절감에 도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한편, KCC는 한국표준협회(KSA)에서 주관하는 ‘2009 한국사용품질지수(KS-QEI)’ 창세트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사용품질지수란 한국표준협회와 한국품질경영학회 지수연구회가 제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와 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공동으로 개발한 측정모델로, 해당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거나 이용한 경험자 및 제품 전문가를 대상으로 품질의 우수성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발표하는 종합지표이다.